好韓國 | 好人才 펀팟라이프교육부동산여행지식비즈쇼핑
 
취업자료> 취업소식
비운의 '신종 코로나' 세대 등록일 : 20/02/13
-취업시장 한파, 기업 60% 채용 연기
-中경제, 무역전쟁 이은 초대형 악재
-일자리 감소폭 사스 때 훨씬 웃돌듯

중국 장시성 난창에서 대학을 다니는 멍예(孟葉·21)씨는 방학을 맞아 고향인 충칭으로 돌아갔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이 발생하면서 발이 묶였다.

집 밖으로 한 발자국도 못 나가게 만든 바이러스도 무섭지만 그보다 더 그녀의 마음을 짓누르는 건 신종 코로나 사태로 취업 시장에 불어닥친 한파다.

올해 졸업반인 멍씨가 방학 전 응시했던 몇몇 기업의 인턴 채용 전형은 무기한 연기됐다. 3월 초 난창 각지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공개 채용 행사도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멍씨의 대학은 특수한 상황이라는 이유로 성적표 등 각종 증명서 발급 업무까지 중단했다. 학교에 돌아가더라도 장시성 정부의 방역 정책 때문에 다른 지역에 가서 일자리를 구할 수도 없다. 취업 전선에 뛰어들자마자 사면초가에 빠진 형국이다.

중국의 3~4월은 채용과 구직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시기다.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적극적으로 구직에 나서는 데다 인구 대이동이 이뤄지는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 직후라 도처에 인력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이 시기를 '금삼은사(金三銀四·3월이 취업 시장 극성수기이고, 4월이 그 다음이라는 뜻)'라고 부른다.

올해 취업 시장에 새로 유입될 대학 졸업생은 사상 최대인 874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구직난은 그 어느 때보다 극심해질 전망이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던 중국 경제에 신종 코로나라는 초대형 악재가 더해진 탓이다.

소비가 위축되고 공장 가동률이 낮아져 경제 성장률이 추락하면서 취업 시장까지 얼어붙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멍씨처럼 사회에 첫발을 내디딜 준비를 하던 중국의 젊은이들이 자칫 개혁·개방 이후 최악의 세대로 기록될 위기에 몰렸다.
 

[지난 1월초 중국 산둥성의 한 취업박람회에서 한 구직자가 기업 채용담당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시작한 1월 말부터 중국 곳곳서 취업 관련 행사가 줄줄이 취소됐다. [사진=신화통신] ]

 
◆넘쳐나는 구직자, 얼어붙은 채용시장

올봄 중국의 취업 시즌은 신종 코로나의 급습으로 엉망이 됐다.

중국 인력자원부와 교육부, 재정부, 교통운수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등 5개 부처는 지난 5일 공동 명의로 '전염병 방역·통제 기간 취업 업무에 관한 통지'를 발표했다.

대형 채용 박람회와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채용 행사 등 공개 채용 일정을 잠정 중단하는 게 골자다.

바이러스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많은 인원이 한자리에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다.

중국 정부는 "전염병 통제를 위한 결정적 시기에 방역과 취업 업무는 모두 중요하다"면서도 "현장 채용은 중단하고 온라인 전형을 확대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또 기존 필기·면접 시험 일정을 연기하고 대면 면접은 온라인 면접으로 대체하라고 주문했다.

각 지방정부는 이 같은 방침에 부응하는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허난성은 올해 추진 중이던 대형 채용 박람회 개최를 무기한 연기했다. 칭화대와 후난성의 중난대 등 주요 대학도 교내 채용 행사를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베이징의 경우 대학 졸업생이 취업 계약에 서명하는 시기를 3월 1일 이후로 늦췄고, 취업 보고 시기도 연기하기로 했다. 중국은 대졸 구직자가 취업에 성공하면 모교에 보고해야 한다.

[그래픽=아주경제]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해 기업들도 채용 시기 조정에 나서고 있다.

취업 전문 사이트인 스시썽(實習僧)이 징둥(JD)과 디디추싱, 메이디 등 24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60%가량이 채용 전형을 연기하겠다고 응답했다.

도시지역 신규 일자리의 80% 정도를 책임지는 중소·영세기업들이 대면 면접 없이 온라인으로만 채용 전형을 진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국가적 재난이 발생한 시점에 취업 시장에 합류한 구직자가 너무 많은 것도 문제다. 중국의 대졸 구직자는 2014년 700만명을 넘어선 뒤 해마다 꾸준히 늘어 올해 834만명까지 증가했다.

여기에 공무원 시험에서 낙방했거나, 해외 유학을 마치고 돌아오는 인원까지 합치면 1000만명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신종 코로나가 취업난을 가중시키면서 대학원 진학률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2018년 238만명, 지난해 290만명이 대학원에 진학한 데 이어 올해는 최소 340만명을 넘을 전망이다.
 

중국 인력자원부 등 5개 부처가 지난 5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전염병 방역·통제 기간 취업 업무에 관한 통지'. 공개 채용을 잠정 중단하는 내용 등이 골자다. [사진=중국정부망 홈페이지 캡처 ]

출처: 아주경제 2월 13일자 발췌

 
아이디저장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금주의 인기검색어
   복장    악세사리
   사무직    출납
   기사    회계
   무역    아줌마
   교주    총무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사이트 소개 | 이용약관 | 제휴사 | 고객센터 | 사이트맵 |  |